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19)
별의 색은 왜 다를까? – 온도와 나이를 알려주는 빛의 비밀 별의 색은 왜 다를까? – 온도와 나이를 알려주는 빛의 비밀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반짝이는 별들이 모두 같아 보이지만, 자세히 보면 미묘하게 색이 다릅니다.어떤 별은 푸른빛을 띠고, 어떤 별은 희미하게 붉은색을 띠기도 하죠.혹시 이런 생각을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왜 별마다 색이 다를까?”“그 색은 그냥 우연일까, 아니면 무언가를 알려주는 걸까?”결론부터 말하자면, 별의 색은 단순한 시각 효과가 아닙니다.별빛의 색은 그 별이 가진 온도, 나이, 질량 등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빛의 서명’과도 같은 것입니다. ● 색이 다른 이유 ① 별의 표면 온도 별빛의 색이 달라지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표면 온도입니다.이는 물리학의 ‘플랑크 복사 법칙(Planck’s Law)’에 의해 설명되는데,온도가 높을..
밤하늘의 별, 빛의 속도와 우주의 거리 이야기 밤하늘의 별, 빛의 속도와 우주의 거리 이야기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수많은 별들이 반짝이고 있습니다.어떤 별은 유난히 밝고, 어떤 별은 희미하게 깜빡입니다.그 모습을 보며 우리는 종종 이렇게 말하죠.“지금 저 별도 우리를 보고 있을까?”하지만 천문학은 말합니다.지금 우리가 보는 별의 모습은 '지금'이 아닐 수 있다고요. 과연 무슨 뜻일까요? ● 빛은 순간이 아니다 우리는 흔히 빛을 아주 빠르다고 생각합니다.맞습니다. 빛은 진공에서 초속 약 30만 km로 이동합니다.지구에서 달까지 약 1.3초, 태양까지 약 8분 20초 정도 걸립니다.하지만 우주는 너무나도 광활합니다. 수천, 수만, 수억 광년 떨어진 별의 빛은 빛의 속도에도 수년, 수천만 년이 걸려 도달합니다. 즉,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별빛..
항성의 탄생과 죽음 별은 어떻게 태어나고 사라질까? – 항성의 탄생과 죽음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수많은 별들이 반짝이고 있습니다.우리는 그 모습을 아름답다고 느끼지만, 그 빛 속에는 아주 오래된 이야기들이 담겨 있습니다.별, 즉 항성은 그 자체로 하나의 생명체처럼 태어나고, 성장하며, 결국 소멸하는 과정을 겪습니다.이 글에서는 별이 어떻게 탄생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 사라지는지를 천문학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 항성의 탄생 – 우주의 먼지 속에서 시작되다 별은 우주 공간에 흩어져 있는 성운(星雲), 즉 차가운 가스와 먼지 구름에서 태어납니다.이 성운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수축하면서 밀도가 높아지고, 중심 온도가 점점 상승합니다.어느 순간, 중심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시작될 만큼의 온도(약 1,000만 K)에 도달..
과학 이론으로 보는 우주의 크기와 경계 과학 이론으로 보는 우주의 크기와 경계 밤하늘을 바라보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궁금해집니다.“우주는 어디까지일까?”“끝이 있는 걸까, 아니면 무한한 걸까?” 이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물리학과 천문학, 철학, 우주론까지 아우르는 가장 깊은 주제 중 하나입니다.오늘은 그 궁금증을 과학적으로 풀어보며우주의 크기와 경계에 대한 최신 이론들을 소개해드릴게요. 우리가 보는 ‘우주’는 어디까지일까? 현재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는**‘관측 가능한 우주(Observable Universe)’**라고 불립니다. 지름: 약 930억 광년반지름: 약 465억 광년그 안에 약 2조 개의 은하 존재138억 년 전 빅뱅 이후 빛이 도달한 범위까지만 관측 가능즉, 우리가 보는 우주는 실제 우주의 ‘전체’가 아..
CMB, 우주 배경복사 쉽게 이해하기 CMB, 우주 배경복사 쉽게 이해하기 우주는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요?그 물음에 대한 가장 유력한 답이 바로 **‘빅뱅 이론’**입니다.그리고 이 이론을 뒷받침하는 가장 강력한 증거가 바로 오늘의 주제,**‘우주 배경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CMB)’**입니다. 이 글에서는 우주 배경복사가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어떻게 발견되었는지를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게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빅뱅 이론, 간단히 복습하기 빅뱅(Big Bang)은 약 138억 년 전,무한히 작고 뜨거운 한 점에서우주가 순간적으로 팽창하면서 시작되었다는 이론입니다. 시간, 공간, 물질, 에너지가 동시에 출현팽창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음초기 우주는 너무 뜨거워 빛도 제대로 빠져나오지 못함그런데..
별의 탄생부터 소멸까지 한눈에 보기 별의 탄생부터 소멸까지 한눈에 보기 항성의 생애 밤하늘에 수놓인 별들은 아름답고 고요하게 빛나지만,그 안에는 태어남과 성장, 죽음을 반복하는 드라마 같은 삶이 담겨 있습니다.별도 우리처럼 태어나고, 성장하고, 결국 사라지죠.그 과정을 천문학에서는 **항성의 생애(stellar life cycle)**라고 부릅니다.오늘은 그 경이로운 여정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 1단계: 별의 씨앗, 성운(Nebula)별은 아무것도 없는 공간에서 갑자기 생겨나는 게 아닙니다.별의 탄생은 거대한 가스와 먼지 구름인 ‘성운’에서 시작됩니다. 성운은 수소와 헬륨이 풍부한 지역외부 충격(초신성 폭발, 은하 충돌 등)으로 붕괴 시작중력에 의해 한 중심으로 수축하며 뭉쳐짐이 수축된 구름이 바로 **원시별(protostar)*..
우주의 구조 쉽게 이해하기_지구에서 은하까지 단계별 정리 우주의 구조 쉽게 이해하기_지구에서 은하까지 단계별 정리 태양계부터 은하까지 한눈에 보기 "우주"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별, 행성, 은하, 블랙홀…그 모든 것을 포함한 것이 바로 우주입니다.하지만 정작 우리는 우주에 무엇이, 어떤 구조로 있는지구체적으로 아는 경우는 드물죠.이번 글에서는 지구 → 태양계 → 은하 → 우주 전체 순으로우주의 크기와 구조를 단계별로 쉽게 정리해 드립니다. 1단계: 우리가 사는 지구 우주의 여행은 바로 지구에서 시작됩니다.지구는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8개 행성 중 하나입니다. 평균 지름: 약 12,742km달이라는 위성을 가짐생명체가 존재하는 유일한 행성으로 알려짐지구는 태양계의 제3행성,즉 태양에서 세 번째로 가까운 행성입니다. 2단계: 태양계..
초보자를 위한 별 보기 가이드 초보자를 위한 별 보기 가이드 천체망원경을 샀거나,이제 본격적으로 밤하늘을 관측해보고 싶은 분이라면가장 먼저 이런 질문이 떠오릅니다. “언제 봐야 잘 보이지?”“어디 가야 별이 잘 보일까?”“망원경 없이도 볼 수 있을까?” 이번 글에서는 밤하늘 관측의 핵심 조건과 팁을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시작은 간단하지만, 감동은 오래 남을 거예요. 관측하기 좋은 시간은 언제일까? 별을 보기 좋은 시간은 단순히 “밤”이 아닙니다.빛 공해, 날씨, 달의 위상까지 고려해야 최적의 관측이 가능합니다. 1. ‘달 없는 밤’이 가장 유리하다보름달이나 밝은 달이 뜬 날은 별이 잘 안 보입니다.삭(암달) 전후 2~3일이 가장 좋습니다. 2. 밤 9시~새벽 2시 사이대기 안정성 좋고, 별의 위치가 높이 올라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