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지원제도

사회초년생 필독! 2025 청년 주거 지원 제도 정리

Dream17 2025. 6. 20. 10:20

사회초년생 필독! 2025 청년 주거 지원 제도 정리

 

2025년부터 시행되는 청년 주거 지원제도를 사회초년생 관점에서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월세 한시 지원, 전세자금 대출, 보증금대출 상품, 공공임대주택까지 핵심 내용을 한 번에 살펴보세요.

 

 

월세 한시 지원 부담 줄이는 실질적 혜택

2025년 새롭게 확대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제도는 만19~34세 무주택 사회초년생을 위한 제도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청년에게 월 최대 20만 원, 최대 24개월까지 지원

지자체 추가 지원도 가능하며, 서울은 보증금 5천만 원 이하·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 대상


## 신청은 복지로 및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며, 온라인 간편 접수도 지원됩니다.

 

 

 

전세자금 및 보증금대출 부담 적은 시작

 

사회초년생이 가장 직면하는 부분은 보증금 마련입니다. 2025년에는 다음 두 가지 상품으로 진입 장벽이 낮아졌습니다.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19~34세 무주택자 대상,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금리 1.2~2.4%, 최대 1억 원까지 대출 가능

청년 주택드림 대출

분양가의 최대 **80%**까지 대출 가능, 금리 최저 2.2%, 상환 기간 최대 40


## 신청 기관: 한국주택금융공사·KB국민은행 등 지정 금융기관에서 진행하며, 소득·자산 기준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공공임대주택과 주거급여 주거 안정의 두 축

분리지급 주거급여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사회초년생도 분리지급 주거급여를 신청할 수 있으며, 2025년부터는 절차·서류 증빙이 대폭 간소화됩니다.

 

공공임대주택 확대

행복주택, 신혼희망타운 등 국민임대 주택 물량 증가

60~80% 수준의 임대료, 최대 6년까지 거주 가능


## LH청약센터 및 지자체 공고를 통해 수시 모집되므로 공고 확인이 필수입니다.

 

 

 

정책 혜택 요약
월세 지원 최대 40개월 신청 가능, 20만 원 지원
대출 지원 1억 원·최저 1.2% 금리 대출 가능
공공임대 주택 저렴한 임대료로 장기 거주 가능
주거급여 절차 간소화, 조건 완화